Media artist Jung Seung grafts together dystopian worldviews with humans, engineering theory, and technologies to get at life’s core in innovative ways. Since 2016, he has worked on a series of experimental projects that combine visual art with science and technology under the keywords outer space, living organisms, and data. He turns the life and death of organisms into data. Jung’s works here riff off the hypothesis that the universe is brimming with endless information, prompted by an intuition that all entities that exist in the universe, whether organic or inorganic, each leaves traces (data) or the power of influence (force). The artist collaborates with developers, engineers, and scientists to collect, in real time, data created through the growth and development processes of living organisms; this data is then transmitted via computers. The collected data is subsequently passed through a specially developed program, one that gives the data visual, auditory, and performative forms.
디스토피아적 세계관과 인간, 공학적 이론과 기술을 접목해 생명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는 미디어아티스트 정승은 2016년부터 우주 공간과 생명체, 데이터를 키워드로 시각 예술과 과학기술을 접목시킨 예술 실험적인 프로젝트들을 진행하고 있다. ‘우주공간이 어쩌면 무수한 정보들로 채워져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에 영감을 얻어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개체들은 생물, 무생물을 막론하고 저마다의 흔적(data) 혹은 영향력(force)을 남긴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일련의 프로젝트들이 시작되었다. 이른바 데이터불변의 법칙에 따라 정확도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데이터 혹은 정보라는 존재를 보다 창의적인 방향으로 그 활용도를 확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이터의 굴절' 개념을 통해 작품의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작가는 개발자, 공학자, 과학자 등과 협업하여 생명체의 생육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한 후 컴퓨터로 전송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특별히 개발된 프로그램을 거쳐 시각, 청각, 퍼포먼스의 형태로 전환된다.